우선 한글을 설치하기전에 라즈베리파이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서 전에 포스팅한 라즈베리파이 설치 법에서 새로 이것을 다운받아준다. Raspbian Stretch with desktop and recommended software

여기서 다운을 받고 처음 설치할때에 잘 세팅을 해주어야 한다. 우선 들어가서 Raspberry Pi Configuration 에 들어간다. 그리고 Localisation 에 들어가서 Set Locale

을 누르면 ko (korean) 으로 설정 을 해야되는데 여기서 되어있어도 다른나라로 바꾸었다가 다시 ko (korean) 바꾸어준다. 그리고 그밑에 Character Set 을 무조건 UTF-8로 바꾸주고 OK 를 누른다

set Timezone은 관계가 없지만 설정해주도록 하자

Area: Asia

Location: Seoul

그리고 Ok 를 누른다.

키보드는 이렇게 설정을 해준다

Model: Generic 105-key (Intl) PC

Layout: Korean

Variant: korean (101/104 key compatible)

그다음 ok 를 누른다

와이파이는 한글설정하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지않기때문에 패스한다.

여기까지는 흔히 블로그나 Youtube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하지만 나는 계속 따라 해봐도 잘 안됬기에 아예 처음부터 계속 반복을 해서 할 수 있게 되었는데 여지껏 ibus 로 한글을 어떻게든 해보려고 악을 쓰고했지만 잘안돼서 Fcitx 로 하기로 했다. 지금 라즈베리파이 사이트에서 새로나온 것을 다운 받고 한것을 토대로 한것이다.

이걸 설치하면 된다.

이제 이어서 하겠다.

그 다음에 해주어야 하는것은 Fcitx 를 설치를 해주어야하는데 나는 설치가 되어있어서 그냥 재부팅을 했다.

하지만 Fcitx 가 없다면 우선 위에부터 순서대로 쳐준다(터미널에서)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 sudo apt-get install fcitx-hangul
$ reboot -n

이렇게 위 명령어를 치고 재부팅(reboot -n) 을 했다면 우측 상단에 키보드 같이 생긴것이 있을것이다.

만약 뜨지 않는다면 이미 설치가 되어있는 것이니 시스템 도구에서 Fcitx 를 누르면 아래 사진처럼 생기게 된다.

키보드처럼 생김

이아이콘을 우클릭을 한다.

현재 입력기 설정을 누른다.

여기서 이 사진처럼

Hangul이 있다면 성공했다. 이제 한글이 한/영키를 눌러도 잘 작동을 할것이다. 하지만 Hangul이 없다면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만들기 위해선 밑에 + 라는게 있는데 눌러서 만들고그 설정에서 한/영키로 쓰고싶다면 컨트롤+스페이스바 옆에 있는 것을 누르고 한/영키를 눌러주면 Hangul 이라고 설정 될것이다.

 

그리고 재부팅을 해주면 된다. 그러면 앞으로 라즈베리파이를 킬때마다 따로 키지 않아도 언제든지 라즈베리파이를 키자마자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내 생각에는 이번에 업데이트 가 되면서 잘되는것 같다.

ibus 한글 입력기로 어떻게든 해보려 했지만 잘 안된 관계로 Fcitx 를 사용하게 되었다.

++사진 첨부 완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