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션 만들기/나누기(fdisk)ㅡㅡ>파일시스템만들기
vmware 사용자 경우
먼저 vmware 로 우분투 설정에서 HDD/SDD 추가 시킨다. 나는 SDD를 5기가를 추가했다.
추가했다면 확인을 하려면 우분투 터미널에 들어가 ls /dev 를 치면 SDD가 추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가 있다.
$ ls /dev
여기서 내가 추가한 SDD를 보려면 sdb가 있는지를 보면 된다. 즉 하드디스크가 여러개(3개정도)있다면
sda / sdb / sdc 순으로로 알파벳순으로 인식이 된다. 즉 새롭게 추가한 SDD이기 떄문에 원래쓰던 sda 가 아니라 추가한 sdb를 확인하면 된다.
fdisk
fdsik 는 파티션을 나누는 역할을한다.(파티션의 자리를 정해준다)
$ sudo fdisk /dev/sdb
이렇게 치게되면
command (m for help):
가 뜬다 이상태일떄 m(manual)을 치면 Help: 옵션들이 나온다. 여기서 옵션을 찾아서 사용하면 된다.
많이 쓰는 옵션을 정리하면 아래와같다.
n : 새로운 파티션 추가
d : 파티션 삭제
t : 파티션 종류 설정
w : 디스크에 기록하고 빠져나감(저장 후 나감)
q : 변경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저장하지 않고 나감)
command (m for help): <ㅡㅡㅡ 상태일떄 n을 눌러주면
이렇게 파티션 타입을 선택하라 뜨는데 P(primary) 을 입력해주면된다.

그럼 파티션 넘버 (1-4, default 1): 가 뜨게 되는데 1번을 선택 해주면 된다.
이제 크기를 정해주면 된다. First sector (2048-10485759, default 2048): 가 나오는데 지정된 부분부터 한다는 것으로 엔터를 쳐주면 된다.
이제 크기를 정해주면 된다. First sector (2048-10485759, default 2048): 가 나오는데 지정된 부분부터 한다는 것으로 엔터를 쳐주면 된다.

위 처럼 엔터를 치게되면 Last sector **** 이 뜨게 되는데 여기서 몇기가 로 할지 정하면 된다. 나는 2기가로 하고싶다면 4096000을 입력하면 된다. 이렇게 파티션 1개가 만들어졌다. 여기서 파티션이 만들어졌는지 확인하려면 우선 저장하고 나와야 되기 떄문에 w 를 눌러주면 저장하고 나온다. $ ls /dev 치면 확인 할수있다.
mkfs
mkfs는 파티션을 포맷하는 역할을 한다.
mkfs
mkfs는 파티션을 포맷하는 역할을 한다.
$ sudo mkfs -t ext4 /dev/sdb1
위처럼 하게 되면 Proceed anyway? 라고 물어보고 (Y,N) 가 나올텐데 하겠다 Y를 입력해주면 된다.
mount
마지막으로 마운트라는걸 해줘야하는데 마운트란 바깥에서 SDD를 추가한것을 리눅스 디렉토리에 연결을 해주는 명령어이다. 5기가를 추가한것을 2기가로 파티션 잡은걸 디렉토리에 연결해주는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일단 디렉토리를 만들고(mkdir) 마운트(mount)를 사용하면 된다.
예) (1) $ mkdir dkanrjsk
(2) $ sudo mount -t ext4 /dev/sdb1 /home/계정명/dkanrjsk
(3) 제대로 됬는지 확인 하려면 mount 를 쳐서보면 확인할 수 가 있다.(아래와같이)
mount
마지막으로 마운트라는걸 해줘야하는데 마운트란 바깥에서 SDD를 추가한것을 리눅스 디렉토리에 연결을 해주는 명령어이다. 5기가를 추가한것을 2기가로 파티션 잡은걸 디렉토리에 연결해주는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일단 디렉토리를 만들고(mkdir) 마운트(mount)를 사용하면 된다.
예) (1) $ mkdir dkanrjsk
(2) $ sudo mount -t ext4 /dev/sdb1 /home/계정명/dkanrjsk
(3) 제대로 됬는지 확인 하려면 mount 를 쳐서보면 확인할 수 가 있다.(아래와같이)

또 마운트한걸 지우고 싶다면 umount 를 쓰면 된다.
$ sudo umount /dev/sdb1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패키지(명령어) (0) | 2024.04.01 |
---|---|
우분투(ubuntu) 네트워크 (0) | 2024.04.01 |
콘솔용 에디터 Vim (0) | 2024.04.01 |
Archive file 압축/해제 (0) | 2024.04.01 |
링크 파일(lnk) (1) | 2024.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