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설치 방법

 

1. Oracle XE 설치

2. Oracle sql developer 설치

 

무조건 XE 먼저 설치하고 <- 이게 메인 데이터 베이스

oracle sql developer 설치 해야한다. <- 이게 GUI 환경으로 편하게 볼 수 있는 도구라고 생각하자

 

------------------------------------------------------------------------------------------------------------------------------------------

이제부터 진짜다

 

0. Oracle XE 설치 오류

1. 네트워크 어댑터 오류

2. ORA-12505

총 2가지 오류로 나를 괴롭힌다.

 

 

먼저 간단하게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listener.ora 에 있는 호스트: localhost -> 본인 내부 IP로 수정

같은 경로에 존재하는

tnsnames.ora 역시 HOST = localhost -> 본인 내부 IP로 수정

 

SID는 XE 대문자로 되어 있지만 sql developer에서 접속할 때 소문자로 해도 상관 없다. 삽질 하지 말자

 

-----------------------------------------------------------------------------------------------------------------------------------------------

0번 오류 해결부터 본격적으로 살펴보자

설치 중간에 뜨는 설치 오류는 이미 한번 설치해서 그런 오류일 수 있다.

따라서

C:\app\본인\product\ 을 삭제하고 재부팅 하고 다시 재설치 해보자

 

1번 오류는 천천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service 윈도우 검색창에 서비스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오라클 서비스들이 나옵니다.

절.대.핵.심

위 두가지 서비스가 핵심중에 핵심이라 둘다 꺼져 있다면 절대 접속할 수 없습니다.

 

먼저 해당오류를 해결해주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경로로 가줍니다.

C:\app\honggilldong\product\21c\homes\OraDB21Home2\network\admin

빨간 밑줄친 파일 두개를 메모장으로 편집을 눌러서 확인해줍니다.

 

다음과 같이 내부 IP를 수정해주면 됩니다. 자신의 내부 아이피 확인 방법은

Windows라면 ipconfig 리눅스 계열이라면 ifconfig로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내 내부 IP 확인

 

해당 IP를 가지고 listerner.ora 파일에 들어가서(메모장 편집) 해서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해당 파일을 쉽게 찾는 방법은 everything 앱을 사용해서 찾는 것을 추천합니다.

listerner.ora

여기서 PORT는 1522로 수정할 필요 없습니다.기본값이 1521임으로 그냥 1521로 두어도 상관없습니다.

 

다음은 tnsnames.ora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수정을 해주면 됩니다. xe 부분이 바로 중요한 SID 부분입니다.

 

위 두가지 설정을 완료 했다면

TNSListener

OracleServiceXE

위 두가지 서비스를 재시작을 해주면 해결됩니다.

 

2번 오류는 위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해결이 됩니다.

 

 

오라클 말고 Mysql 추천드립니다.

 

 

 

 

 

 

 

 

 

 

+ Recent posts